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물리5

5. 가속도, 등가속도 운동 1. 속도의 변화량? 이전시간에, 물체의 운동이 아래와 같을 때 평균속도와 순간속도를 이용해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였다. 이 물체에서 알 수 있는 정보는 평균속도이다. 크게 세 가지로 구할 수 있을 듯 하다. 0s ~ 3s의 평균속력 3s ~ 5s의 평균속력 0s ~ 5s의 평균속력 여기서 누군가가 "그래서 공은 빨라져? 느려져?" 라고 대답하면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인가? 즉각 대답이 나오기 어렵고 문제를 한참 살펴봐야 해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결론을 이야기하자면,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때 "평균 속도", "순간 속도"의 정보만으로 물체의 운동을 분석하기 매우 힘들다. 공이 빨라지는지, 느려지는지 알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도 필요하다는 뜻이다. 2. 속도의 변화량이 필요한 이유 속.. 2022. 5. 12.
4. 빠르기가 변하는 경우 : 평균, 순간속도 이전시간(3. 속도와 속력) 에서 '시간', '공간'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물체의 빠르기를 설명하는 속력과 속도를 아래와 같이 정의했었다. 1. 사건 구간 내에서 빠르기가 변할 때 아래의 경우를 살펴보자, 0초 0m에 있던 물체가 1초 뒤 오른쪽으로 20m 이동하였다면 위 물체의 속도는 20m/s로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운동을 0.5초 단위로 측정하고 위치를 나타내었다. 0.5초 시간동안의 변위를 이용하여 속도를 구해볼 수 있는데 결과는 아래와 같다. 0.5초 단위로 측정해 보았더니 물체가 점점 빨라지는 것 같다. 아래 그림은 0.25초 단위로 측정하였을 때의 변위와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점점 빨라지는 듯 하더니, 0.75초 ~ 1.0초 구간은 속도가 느려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일상에서 어.. 2022. 5. 8.
3. 속도와 속력 1. 이전 시간 복습 이전시간(2. 시각, 위치 → 시간, 변위) 에서 물리량 중 '시간과 공간'에 대하여 이야기를 했고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설명하였다. 물리학이란 결국 자연현상에서 물리량 변화를 통해 규칙을 찾고 과거, 현재, 미래를 이해하는 것이라 했다. 저번 시간에서 이야기한 시간과 공간 개념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시각(time) : 사건의 시작, 중간, 끝 개념의 때, 순간(Moment)를 의미한다. 2. 시간(time → Δt, t) : 어떤 사건에 대한 시각의 변화량이다. (나중시각 - 처음시각) 3. 위치(space) : 사건에 대한 공간적 지점을 뜻한다. 4. 변위(displacement → s, d, Δs, Δd ) : 어떤 사건에 대한 위치의 변화량이다. (나중 .. 2022. 5. 4.
2. 시각, 위치 → 시간, 변위 저번 물리학 개념 개론 시간에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탐구하고 과거, 현재, 미래를 확인하는 것이고 어떻게 할 수 있는지지 간단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였다. 고등학교 물리를 잘 하려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물리 교사를 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이다. 그 때마다 "기초 개념부터" 이야기를 제일 많이 한다.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인데 잘 와닫지 않는 말이다. (아니 선생님 그걸 누가 몰라요?) 어떤 기초 개념부터 해야 할까? 정답은 시간, 공간부터 해야 한다. 대다수의 참고서, 교과서는 이 얘기를 하지 않는다. 교과서에 들어올려고 했던 것 같은데 못들어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다. 사실 일반물리학 목차를 보면 시간, 공간에 대한 개념인 "물리량"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하고 들어간다. (그런데 어차피 잘 .. 2022.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