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물리 개념8

8. 등가속도 운동과 평균속도 2022. 5. 26.
7. 등가속도 운동에서의 시간-속도, 시간-가속도 그래프 1.시간-속도 그래프 등가속도 운동에서 시간-속도의 관계는 일차 방정식으로 시간에 비례하는 관계를 가진다. 시간-속도 그래프는 매우 중요한데, 그래프 밑넓이에서 변위 s, 그래프 기울기에서 가속도 a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속도 그래프에서 t, v를 알 수 있으므로 4가지 변수 s, t, v, a를 한 번에 알 수 있어 매우 강력하다.) (1) 모양 → 1차 함수 그래프 각 그래프 모양을 보고 어떤 운동을 하는지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2) 기울기 기울기의 크기는 가속도의 크기, 기울기 +, -는 가속도의 방향(+, -)를 의미한다. (3) 밑넓이 밑넓이 크기는 변위의 크기, 밑넓이의 +, -는 변위 방향(+, -) 예를 들어보자 2.시간-가속도 그래프 등가속도 운동에서 시간-가속도 관계는 .. 2022. 5. 26.
6. 등속운동 그래프와 등가속도 시간-변위 그래프 물리학I에서 물체의 운동은 크게 등속도 운동과 등가속도 운동으로 나뉜다. 물체의 운동이 잘 상상이 안 갈때 그래프를 그려보자. 시각적으로 상당한 도움이 된다. 반대로 말해 어떤 그래프를 보았을 때 그래프를 분석하고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1. 등속도 운동 a = 0인 경우 등속도 운동이라 한다. 등가속도 식에서 확인해 보자. 이를 그래프로 그리면 아래와 같다. 시간-변위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s/t 이므로 물체의 속도를 나타낸다. 등속도 운동일 경우 기울기가 일정하므로, 등속도임을 알 수 있음 시간-속도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v/t 이므로 가속도를 나타내는데, 등속도 운동이므로 기울기는 0으로 속도 일정, 면적(밑넓이)는 v × t 이므로 변위를 나타낸다. 2. 등가속도 운동 a = 상수(일.. 2022. 5. 24.
5. 가속도, 등가속도 운동 1. 속도의 변화량? 이전시간에, 물체의 운동이 아래와 같을 때 평균속도와 순간속도를 이용해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였다. 이 물체에서 알 수 있는 정보는 평균속도이다. 크게 세 가지로 구할 수 있을 듯 하다. 0s ~ 3s의 평균속력 3s ~ 5s의 평균속력 0s ~ 5s의 평균속력 여기서 누군가가 "그래서 공은 빨라져? 느려져?" 라고 대답하면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인가? 즉각 대답이 나오기 어렵고 문제를 한참 살펴봐야 해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결론을 이야기하자면,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때 "평균 속도", "순간 속도"의 정보만으로 물체의 운동을 분석하기 매우 힘들다. 공이 빨라지는지, 느려지는지 알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도 필요하다는 뜻이다. 2. 속도의 변화량이 필요한 이유 속.. 2022. 5. 12.